ジグフリード

真実を愛する心

Protease Inhibitor [updated in 11.22]

2021-11-18 11:04:21 | Unknown Knowns

RNA stands for ribonuclease, which means by its name that it is basically an enzyme that decomposes protein. HIV is RNA virus, and so is COVID19. A good treatment for HIV has been a protease inhibitor; it means that the inhibitor of the protein decomposer has been successful. Therefore, the same inhibitor may work for treatment of COVID19: 3CL protease inhibitor in this case. One study shows that Biktarvy can function as the inhibtor, and has in addition a 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tor: emtricitabine. [1] The medicine aforesaid is cheap and safe, and readily available in Korea. I'm not sure it works but think it is worth trying.

[1] Mahesha Nand, et al, "Virtual screening of anti‑HIV1 compounds against SARS‑CoV‑2: machine learning modeling, chemoinformatics an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based analysis", Scientific Reports, Vol. 10:20397, 2020.

Only in the realm of conventional knowledge, RNA is, of course, an acronym for ribonucleic acid. However, an interview of Sidney Altman, a Nobel laureate in Chemistry, inspired my notion of RNA, as stated in the first sentence above, being an enzyme or, to be more precisely, a catalyst in biochemical reaction. Here is a short transcript of the interview:[2]

Keiser: "...what I'd like to clarify is the conventional wisdom at the time was that RNA was only a carrier of information. That was its function."
Altman: "Absolutely."
Keiser: "And to go against that notion was revolutionary in a way."
Sidney: "Well, first of all, we showed, as I said, that the enzyme, Ribonuclease P,  which is what I was working on, had an RNA subunit. So that, in a sense, was the first distinction that we drew. So it meant that the RNA had some function, seemingly had some function other than information. But that's all we knew at that time. Then about 6 years later or 6 or 7 years later, we showed in our lab, one of my postdocs, who was an absolutely brilliant woman, showed that the RNA actually had some catalytic function of its own, and that means that the RNA by itself could carry out this reaction over and over and over without changing the RNA in any way. So that essentially defined what a catalyst is, just as you might define chemically a catalyst as lead, when you added it to gasoline in the old days before lead was outlawed, the lead increased the combustion of gasoline drastically. So in this case, the RNA of the enzyme was very active in cleaving another piece of RNA. So that was the truly revolutionary move, and that really upset a notion that had been in place for perhaps 150 years, well, not 150, maybe 120 years, that was first annunciated by Pasteur when he was the first person to describe what an enzyme was to isolate enzymes."

I add a study that shows how the other elements in Biktarvy other than bictegravir work in the treatment of COVID19. [3]

[2] University of California Television, "Ribonucleic Acid (RNA) - Conversations with History" at https://www.youtube.com/watch?v=OBWMLiwRW_c @27:57

[3] Jean-Jacuques Parienti, et al, "Effect of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and Emtricitabine on nasopharyngeal SARS-CoV-2 viral load burden amongst outpatients with COVID-19: A pilot, randomized, open-label phase 2 trial", E Medical Medicine, Vol. 38, 2021. 


JAN-KEN-PON GAME

2021-11-09 09:54:39 | Unknown Knowns

 

 

 

 

 

 

 

 

 

 

 

 

 

 

 

 

 

 

 

 

 

 

 

 

 

 

 

 

 

 

 

 

 

 

 

 

 

 

 

 

 

I believe I have written and published things for the poor, the marginalised and those who suffer the most However, it is true that those whom I write for have been sent to jeopardize my chances of getting a job, thereby putting me in dire straights, which constitutes in effect MURDER. Maybe one day in the future I can stop doing this stupid work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My biomother, whom I don't even know 100% whether on the earth or in heaven, and my sisters, whom I don't even know 100% whether I have, I love you.


アルマゲドン

2021-10-09 11:15:45 | Unknown Knowns

¶1 日本の首都圏に強い地震があったと聞きました。 私はいわゆる親日派でも反日派でもありませんが、早く復旧されることを願います(これまで明らかにしてきたように、日中韓の平凡な人々同士は無条件仲良く過ごさ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考えに変わりはありません)。

¶2 韓国で大衆の目は来年3月にある大統領選挙関連イシューに集まっています。 日本も最近総理大臣が変わり、また、全国民の関心を集める結婚イベントも今月あるので、おそらく関連内容だけに相対的に視線が集中すると思います。 中国の事情がよく分かりません。 ただ、最近韓国のイカゲームが全世界的に大ヒットして中国でもよく楽しんでいると聞いたし、相対的に韓国と日本に比べて媒体の統制水準が高いので下で話すテーマに対しては多分大衆的にはほとんど関心がないのではないかと予想します。

¶3 報道はされましたが、一度も深刻に扱われていないイベント、まさに米国政府のデフォルト(国家債務不履行)の可能性です。 もちろん私のように注視している方もいると思います。 先に韓中日の大衆的認識について言及したのは、現在の米国の状況が三国と、特に民生と密接な関連があるためです。

¶4 韓国の外貨保有高は現在、歴代最高水準です(およそ4700億ドル)。 外貨保有高は文字通り、韓国の経済主体が保有している外国の貨幣量のことをいいます。 いろいろな国の貨幣があるでしょうが、大半は米ドルで持っています。 先日発表された統計を見ると、韓国は外貨保有高の水準が世界10位内に入りました。 中国と日本はそれぞれ1、2位です。 確認したことはありませんが、中国と日本も外貨準備ポートフォリオ(外貨国籍の構成)は韓国と似ていると思います。 主に米国の貨幣で表示された資産を持っているでしょう。

¶5 2016年に「通貨制度による奴隷化作動原理」という本を書き、韓国の財務部処に(現在の企画財政部)外国為替ポートフォリオに関する情報公開請求を行ったことがあります。 当時確認したところによると、韓国の外貨は米国債がほとんどでした。 中国と日本の外貨構成もやはり韓国と似ていると思います。

¶6 米政府がデフォルト状態になれば米政府の信頼が失われます。 当然ドルの価値が下がるでしょう。 米国債は米政府から米ドルを返してもらう権利です。 そうです。米国に埋もれている三国の資産価値が落ちます。 通常、正常な状況ではドルの価値が下がると(金利引下げ)、国債価格そのものは上昇します。 経済が良く、ドルが市場にたくさん出たわけで(ドル価値の下落)、その分米国政府の安定性が大きくなるからです(安全資産としての米国債を好む)。 しかし、デフォルト状態では国債価格も下がります。 ドル安で外貨準備高が減少するだけでは足りず、資産の換金可能性すら減っているのです。 外貨保有高は別の言葉で、国際決済貨幣(基軸通貨)の保有量です。 貿易の比重が高い韓国で、外貨が不足すれば国内外的にどのような影響を及ぼすかについて、あえて言及しなくてもいいと思います。 米国のある人は「アルマゲドン」という表現まで使っていましたが、実際の様相は見守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ね。 しかし、軽んじるべきことではないことは確かです。

¶7 韓国の主要金融関連規制当局は、早くから家計融資を引き締める措置を取ってきました。 過度な家計負債比率や財政健全性の弱化への懸念などだけ、規制の名分として言及されました。 しかし、この措置は国民の反発を買いました。 なぜでしょうか? 韓国はここ数年、住宅価格がとてつもなく上がりました。 世界的な流動性の宴において、韓国も例外ではなかったからです。 貸し出し規制を解いて借金で家をおびただしく買わせておいたのです。 早くに家を買った人たちは、上がるしかない家の価格に成金になったが、家を買うことができなかった人たちは瞬く間に乞食になりました。 ところが、投機ではなく自分の実際の居住地をやっと買おうとした後発走者たちはこれでローンが滞るようになったのです。 もちろん、すでに住宅を購入して融資を一所懸命返済している人々にとっても、融資を減らす措置、すなわち金利の引き上げは災いです。

¶8 金融当局が貧者たちをわざとひどい目にあわせるのでしょうか。 まさか···そうではないと思います。 それではなぜでしょうか? はい、そうです。 米国政府のデフォルトの可能性のためです。 それでは庶民が反発する時、これに言及して、やむを得ない措置だったと理解を求めるのが自然ではないでしょうか? しかし、政府はそうしませんでした。 なぜでしょうか?

¶9 これに対する答えを探してみようとしましたが、簡単じゃなかったんだけど、最近少し糸口をつかんだようです。 この話を解くには、まずデフォルト状況に対する米政界の対処内容を理解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

¶10 まずデフォルトは米政府がこれ以上債務を負えないという事実に起因します。 法律で定めている政府が借りられる金額が限度に達したのです。 簡単に言うと、もう債務回しができないのです。 解決策は限度を上げることです。 法律で定められており、法改正がなければ、行政府は単独で上げることができません。 それから、米議会の法改正が必要で、これはまず上院の通過を要します。 問題は上院の構成です。 現在大統領が属している与党民主党は、上院100議席のうち48議席、野党共和党50議席、無所属2議席です。 しかし、無所属2議席が与党寄りなので、事実上民主党も50議席を占めている状況です。 そのため、上院で民主党は単独で過半数の採決をする能力を持っています。 上院議長(副大統領)が民主党なので、51票を獲得することができるからです。

¶11 ところが、問題はいわゆるフィリバスターという議事進行妨害です。 彼らの上品な公式用語は「討論(debate)」といいます。 討論(反対)が続く限り票決はできないことになっていますね。 これを解決する方法は二通りです。

¶12 まず、「討論」を終わらせようという(「cloture」)票決をすることができます。 けれど、これに必要な議決定足数が60票です(上院議事規程第22条)。 デフォルトが問題になったのは昔ですが、昨日の臨時策が用意されるまで上院で膠着状態にあったのはこのためです。

¶13 二つ目の解決方法は「和議(reconciliation)」です。 特にどう翻訳すればいいのか分からなくて 任意で名前をつけてみました。 これは上院議事規定(Standing Rules of the Senate)上の方法ではなく、議会予算法(Congressional Budget Act)上の装置ですが、議会内で歳出(spending)、歳入(revenue)、連邦負債限度(federal debt limit)に関する案件に対してだけは討論の時間的限界を与えるのです。 それで議事進行妨害ができなくなり、上程された本案の票決に入るようにするのです。

¶14 これまで、デフォルト問題の文脈を理解する上で必要な基本的な事項についてお話ししました。 そろそろ本論に入りましょう。

¶15 今まで上院で共和党は民主党の負債限度増額案を反対してきました。議事進行妨害を終わらせるために、(「長期的」限度増額票決の向け)民主党は、少なくとも、共和党議員10人を自分側の採決に集めて来なければならないが、共和党院内代表は、党の誰も協力してくれないだろうと公言してきました。[1] これは事実であるかのように見えました。妨害中止に乗り出している共和党議員がなかったし、民主党が長く間の苦心しており、米国の中央銀行である連邦準備制度理事会の議長は「非常な手段(extraordinary measures)」を動員して危機を免れていたからです。彼は民主党が表決を希望すれば「和議」を発動し、自ら解決すればいいじゃないかと話してきました。[2]

¶16 ここからがミステリーです。 民主党は戦々恐々としながらも和議に突入しませんでした。 民主党の院内代表は、和議手続きの使用が「国にとって非常に危険だ」という理由を話しただけです。[3] どんな風に危ないって言わなくて理解が難しいです。 ちなみに、米議会は最近ワクチンに関連して「米国救済法(American Rescue Plan)」を、また2010年には「保健及び教育調整法(Health Care and Education Reconcilation Act)」を、和議の手続きでフィリバスターを退けた終えた後、成立させたことがいます。[4] すでに二件の先例があり、これが問題になったという話を聞いたことがなく、和議手続きの使用が国家デフォルト事態よりもっと危険なものなのか疑問です。

¶17 共和党も同様です。 普通、議事進行妨害には目的があります。 相手党の主要法案の表決に参加する対価として要求するものがあるものです。 しかし共和党はまだ望むことを明確にしたことがありません。 少なくとも火曜日(5日)までに共和党院内代表が大統領に送った手紙で、「私たちには要求事項がない」と言ったんです。[5]

¶18 そして昨日(10·8)両党が臨時方便に合意しました。 債務限度4800億ドルの増額を議決したものの、小さな韓国から見れば、巨額のようだが、米国全体の負債限度額が28兆4千億ドルであることを考慮すれば、1.6%に過ぎず、12月初頭まで、安全に耐えられる程度の金額だということです。 [6] 結局、時限爆弾の爆発時間を少し遅らせたに過ぎません。

¶19 しかし、ここにも釈然としないところがあります。 たとえ小額でも、増額に合意したということはフィリバスターを終えたということですが、どんなことがあったのでしょうか。 「討議終結」に必要な60席のうち共和党10人を連れてこなければならないと申し上げたが、昨日11人の共和党議員がこの討議終結表決に民主党側に立ってくれたそうです。[7] 私が討議を終結すれば、本案の表決には民主党が50票あればいいと話しましたよね? 議長含めて51票となります。 昨日の本案の表決はどうだったのでしょうか。 賛成と反対が50対48でした。 民主党は皆賛成したそうですね。 それでは48票の反対は全部共和党です。 面白くないですか? 共和党議員11人が討議(フィリバスター)の終結には賛成しましたが、そのうち9人は少額の増額に反対票を投じたのです。 何か事がうまく運ばなかったのか、昨日の合意が奇怪なこう着状態を持続させるために時間を稼いだに過ぎないことを示す部分です。

¶20 ある報道では、民主党が和議手続きの使用を民主党の力点法案であり、予算規模がはるかに大きい社会保障サービス法案のために残しておいたものと解釈したりもします。 私の考えは違います。 前述のように、和議は歳入、歳出、負債限度設定に各1回ずつ計3回使うことができます。[8] 社会保障サービス法案は、予算(歳入および歳出)に関する内容であるため、負債限度の増額と関係なく使用することができます。すべて赤字財政(国債発行)事業なら、なぜインフラ事業と社会保障サービスを分離して処理するのかも疑問です。

¶21 まとめると、米国国家デフォルト解決において共和党は反対給付を明らかにしない、意図が不明な議事妨害を依然として行っており、民主党は独自解決可能で、伴う危険が何であるかも明確でない、利用できる方法をつかわなっていません。 米国だけでなく、世界経済、特に日中韓の深刻な経済的打撃を担保にしています。

¶22 個人的には暗号通貨の導入と関連している可能性を見ています。 暗号通貨はすでに米国では資産("digital asset")として認められ始めています。 暗号通貨が米国ではすでに制度圏に入ってきているわけです。 あいにくにも米国の初めてデフォルトのデッドラインだった10月18日、世界初のビットコインETF(株価指数に連動したファンド)の許可が高い確率で予定されているというニュースを見ました。[9] 今、米国上院が見せている行動と関連があろうがなかろうが、もう一つ確かなのは、暗号通貨が既存の通貨に代わるために必要な先行イベントは、もはや「国家」担保の(国税徴収権)通貨が安全ではなく、効率的ではないということを示すことです。 このイベントに最も近づいているのが、現在の状況です。 この段落の内容は、自分の推測なので、信じなくても大丈夫です。

¶23 確かなのは、膠着状態の設定と維持が粗雑なのです。 そして韓中日は、ここにどの国よりも積極的に備えなければならないのに、明示的な動きがないという点です。 むしろ、他のイシューで隠れています。 ちょうど時間をもう少し稼いだので備えなければなりません。 そうでなければ今年の冬が誰かに厳しくなるかもしれません。

¶1 일본 수도권에 강한 지진이 났었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이른바 친일파도 반일파도 아니지만 속히 복구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그간 밝혀왔듯, 한중일의 평범한 사람들끼리는 무조건 잘 지내야 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습니다).

¶2 한국에서 대중의 눈은 내년 3월에 있을 대통령 선거관련 이슈들에 쏠려 있습니다. 일본도 최근 총리대신이 바뀌었고, 또 전국민의 관심을 받는 결혼 이벤트도 이번 달에 있기에 아마 관련 내용들에만 상대적으로 시선이 집중되리라 생각합니다. 중국의 사정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최근 한국의 오징어게임이 전세계적 흥행을 일으키면서 중국에서도 많이들 즐긴다 들었고, 상대적으로 한국과 일본에 비해 매체의 통제수준이 높기 때문에 아래서 얘기할 주제에 대해선 아마도 대중적으론 거의 관심이 없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3 보도는 되었지만 한 번도 심각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이벤트, 바로 미국정부의 디폴트(국가채무불이행) 가능성입니다. 물론 저처럼 예의주시하고 계신 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한중일의 대중적 인식을 언급한 것은 현재 미국의 상황이 세 나라와, 특히 민생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4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현재 역대 최고 수준입니다(대략 4700억달러). 외환보유고는 말 그대로 우리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외국화폐의 량을 말합니다. 여러 나라의 화폐가 있겠으나 대부분 미국의 화폐(달러)로 가지고 있습니다. 얼마전 발표된 통계를 보니 한국은 외환보유고 수준이 세계 10위권 안에 들더군요. 중국과 일본은 각각 1, 2위입니다. 확인해 본 바 없지만, 중국과 일본도 외환보유 포트폴리오(외환국적의 구성)는 비슷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주로 미국 화폐로 표시된 자산을 가지고 있을겁니다.

¶5 2016년에 '통화제도에 의한 노예화 작동원리'란 책을 쓰면서 한국의 재무부처에(현재 기획재정부) 외환 포트폴리오에 관한 정보공개청구를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확인해 본 바로는, 한국의 '외환'은 미국 국채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중국과 일본의 외환구성 역시 한국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6 미국정부가 디폴트 상태가 되면 미국정부의 신뢰가 떨어집니다. 당연히 달러가치가 떨어지겠죠. 국채는 미국정부로부터 미국달러를 돌려받을 권리입니다. 그렇습니다. 미국에 묻혀 있는 세 나라의 자산가치가 떨어집니다. 보통 정상인 상황에선 달러가치가 떨어지면(금리인하) 국채가격 자체는 올라갑니다. 경제가 좋기 때문에 달러가 시장에 많이 나온 것이고(달러가치하락), 그만큼 미국 정부의 안정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안전자산으로써의 미국국채선호). 그런데 디폴트 상태에선 국채가격도 떨어집니다. 달러가치 하락으로 가만히 앉아 외환보유고가 줄어듦을 겪는 것도 모자라, 낮아진 자산의 환금가능성 마저도 줄어드는 셈이지요. 외환보유고는 다른 말로 국제결제화폐(기축통화) 보유량입니다. 무역이 전부인 한국이 이것이 부족해지면 국내외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되리라 생각합니다. 미국의 혹자는 '아마겟돈'이란 표현까지 쓰던데, 실제 양상은 지켜봐야 할테지요. 하지만 가벼이 여길 일이 아님은 분명합니다.

¶7 한국의 주요 금융관련 규제당국들은 진작부터 가계대출을 조이는 조치들을 취해 왔습니다. 과도한 가계부채 비율과 재정건전성 약화우려 등만 규제명분으로 언급되었죠. 하지만 이 조치는 국민들의 반발을 많이 샀습니다. 왜일까요? 한국은 최근 몇 년간 집값이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전 세계적인 유동성잔치에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대출규제를 풀어 빚으로 집들을 엄청나게 사게 해 놨던 것이죠. 일찍 집을 산 사람들은 오를 수 밖에 없는 집값에 벼락부자가 되었지만 집을 사지 못한 사람들은 벼락거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투기가 아니라 자신의 실거주 집을 이제 겨우 사보려 한 후발주자들은 이제 대출이 막힌겁니다. 물론 이미 집을 사서 대출을 열심히 갚아나가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대출을 줄이는 조치, 즉 금리인상은 재앙입니다.

¶8 금융당국이 없는 자들을 일부러 골탕먹이는 것일까요? 설마... 그렇진 않을 겁니다. 그럼 왜일까요? 네, 맞습니다. 미국정부의 디폴트 가능성 때문입니다. 그럼 서민들이 반발할 때 이것을 언급하고, 해서 피치 못한 조치였다며 양해를 구하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허나 정부는 그러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9 여기에 대한 답을 찾아보려 했는데 여의치 않다가 최근 약간의 실마리를 얻은 것 같습니다. 이 얘기를 풀어가려면 먼저 디폴트 상황에 대한 미 정치권의 대처내용을 이해해야 합니다.

¶10 우선 디폴트는 미국정부가 더 이상 채무를 질 수 없다는 사실에 기인합니다. 법으로 정해 놓은 정부가 빌릴 수 있는 금액이 한도에 이른 것이죠. 쉽게 말해 이제 돌려막기가 안되는 겁니다. 해결책은 한도를 올리는 겁니다. 법으로 정해져 있어 법개정이 없으면 행정부는 단독으로 올리지 못합니다. 해서 미의회의 법개정이 필요하고, 이는 먼저 상원의 통과를 요합니다. 문제는 상원의 구성입니다. 현재 대통령이 속한 여당인 민주당이 상원 전체 100석 가운데 48석, 야당인 공화당이 50석, 무소속이 2석입니다. 그런데 무소속 2석이 친여인사여서 사실상 민주당도 50석인 상황입니다. 따라서 상원에서 민주당은 단독으로 과반표결을 할 능력이 있습니다. 상원의장(부통령)이 민주당이어서 51표를 만들 수 있거든요.

¶11 그런데 문제는 이른바 필리버스터라고 하는 의사진행방해입니다. 그들의 점잖은 공식용어는 '토론(debate)'이라고 합니다. 토론이(반대가) 계속 되는 한 표결이 안되도록 되어있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12 먼저 '토론'을 끝내자는("cloture") 표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필요한 의결정족수가 60표입니다(상원의사규정 제22조). 디폴트 문제가 불거진건 오래 전인데 어제의 임시방편이 마련되기 전까지 상원에서 교착상태에 있었던 건 이 때문이었습니다.

¶13 두 번째 해결방법은 '화의(和議, reconciliation)' 입니다. 딱히 어떻게 번역해야 될지 몰라 임의로 이름을 붙여 봤습니다. 이건 상원의사규정(Standing Rules of the Senate)상의 방법은 아니고 의회예산법(Congressional Budget Act)상의 장치인데, 의회 내에서 세출(spending), 세입(revenue), 연방부채한도(federal debt limit)에 관한 안건에 대해서 만큼은 토론의 시간적 한계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의사진행방해를 할 수 없게 돼 상정된 본안의 표결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죠.

¶14 지금까지 디폴트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은 얘기했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죠.

¶15 여태 상원에서 공화당은 민주당의 부채한도증액안을 반대해 왔습니다. 의사진행방해를 끝내기 위해('장기적' 한도증액 표결을 위해) 민주당은 최소 공화당 의원 10명을 자기측의 표결에 끌어와야 하는데 공화당 원내대표는 당의 누구도 협조해 주지 않을 것이라 공언해 왔죠.[1] 이는 사실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방해중지에 나서는 공화당 의원이 없었고, 민주당이 오래동안 고심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의 의장은 "비상한 수단(extraordinary measures)"을 동원해 위기를 모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민주당이 표결을 원하면 '화의'를 발동해 스스로 해결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해 왔습니다.[2]

¶16 여기서부터가 미스터리입니다. 민주당은 전전긍긍하면서도 화의에 돌입하지 않았습니다. 민주당 원내대표는 화의절차의 사용이 "국가에 매우 위험하다"는 이유를 댔을 뿐입니다. [3] 어떻게 위험하다는 말을 하지 않아 이해가 어렵습니다. 참고로 미국 의회는 최근 백신과 관련해 "미국구제법(American Rescue Plan)"을, 또 2010년엔 "보건및교육조정법(Health Care and Education Reconcilation Act)"을 이 화의절차로 필리버스터를 끝낸 다음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4] 이미 두 건의 선례가 있고, 이것이 문제가 되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으며, 화의절차의 사용이 국가 디폴트사태보다 더 위험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17 공화당도 마찬가지입니다. 보통 의사진행방해에는 목적이 있습니다. 상대 당의 주요법안표결에 참여하는 대가로 요구하는 게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공화당은 아직 원하는 것을 명확히 밝힌 적이 없습니다. 최소한 화요일(5일)까지 공화당 원내대표가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는 요구사항이 없다"고 했다죠.[5]

18 그러다 어제(10.8) 양당이 임시방편에 합의했습니다. 채무한도 4800억 달러 증액을 의결했는데, 조그만 한국이 보기엔 큰 금액 같지만 미국 전체 부채한도액이 28조4천억달러임을 감안하면 1.6%에 불과하며 12월 초까지 안전하게 버틸 수 있는 정도의 금액이라고 하는 군요. [6] 결국 시한폭탄의 폭발시간을 조금 늦춘 것에 불과합니다.

19 하지만 여기에도 석연찮은 구석이 있습니다. 비록 소액이지만 증액에 합의했다는 것은 필리버스터를 끝냈다는 것인데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토의종결'에 필요한 60석 중 공화당 10명을 끌어와야 된다고 말씀드렸는데, 어제 11명의 공화당 의원이 이 토의종결표결에 민주당 편을 들어줬다는 군요.[7] 제가 토의를 종결하면 본안표결엔 민주당 50표만 있으면 된다고 얘기했죠? 의장포함 51표가 됩니다. 어제 본안표결은 어땠을까요? 찬성과 반대가 50대 48이었습니다. 민주당은 모두 찬성했다고 하네요. 그럼 48표의 반대는 전부 공화당입니다. 재밌지 않나요? 공화당의원 11명이 토의(필리버스터) 종결엔 찬성했는데 그 중 9명은 소액의 증액에도 반대표를 던진겁니다. 뭔가 일이 잘 안 풀렸던 모양인지, 어제의 합의가 기괴한 교착상태의 지속을 위해 시간을 번 것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20 어떤 보도에선 민주당이 화의절차 사용을 민주당의 역점 법안이자 예산 규모가 훨씬 더 큰 사회보장서비스 법안을 위해 남겨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앞서 언급했듯, 화의는 세입, 세출, 부채한도설정에 각 1번씩 총 세 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8] 사회보장서비스 법안은 예산(세입 및 세출)에 관한 내용이기 때문에 부채한도증액과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두 적자재정(국채발행) 사업이라면 왜 인프라사업과 사회보장서비스를 분리해 처리하는 것인지도 의문입니다.

21 정리하면, 미국 국가디폴트 해결에 있어 공화당은 반대급부를 밝히지 않는, 의도가 불분명한 의사방해를 여전히 하고 있고, 민주당은 독자해결 가능하며 따르는 위험이 무엇인지도 명확하지 않은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 뿐 아니라 세계경제, 특히 한중일의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담보로 말입니다.

22 개인적으론 암호화폐의 도입과 연계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는 이미 미국에선 자산("digital asset")으로 인정되기 시작했습니다. 암호화폐가 미국에선 벌써 제도권으로 들어와 있는 셈이지요. 공교롭게도, 처음 미국 국가디폴트의 마지노선이었던 10월 18일날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ETF(주가지수에 연동된 펀드)의 허가가 높은 확률로 예정되어 있다는 소식을 봅니다.[9] 지금 미국 상원이 보여주고 있는 행태와 관련이 있건 없건, 한 가지 확실한 건 암호화폐가 기존 화폐를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이벤트는 이제 '국가' 담보의(국세징수권) 화폐가 더이상 안전하지도, 효율적이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이벤트에 가장 가까이 와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입니다. 이 단락의 내용은 혼자 추측이니 믿지 않으셔도 됩니다.

23 확실한 건, 교착상태의 설정과 유지가 어설픕니다. 그리고 한중일은 여기에 어떤 국가보다 더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되는데, 명시적인 움직임이 없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다른 이슈들로 가려져 있습니다. 마침 시간을 조금 더 벌었으니 대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올 겨울이 누군가에겐 혹독할 수 있습니다.

[1] Jonathan Weisman, "As the U. S. Hurtles Toward a Debt Crisis, What Does McConnell Want?", New York Times, 2021.10.5.

[2] Ibid.

[3] Caithin McFall, "Manchin stands firm on filibuster, Dem plans for debt ceiling hike thwarted", Fox News, 2021.10.6.

[4] Ibid.

[5] Weisman, supra, "We have no list of demands".

[6] Emily Cochrane, "Senate Approves Bill to Raise Debt Ceiling and Avert Default, for Now", New York Times, 2021.10.8.

[7] Ibid.

[8] Richard Kogand and David Reich, "Introduction to Budget "Reconciliation"",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21.1.21.

[9] Jeff Berman, "First U. S. Bitcoin ETF could be coming in 2 weeks, but there's a Catch", Think Advisor, 2021.10.4.


主権はない

2021-10-05 10:52:09 | Unknown Knowns

¶1 銀行は利子を収入としています。 事業者にお金を貸した対価です。 ここで考えてみましょう。 利益がたくさん出る事業なら銀行が直接その事業をしたいでしょう?

¶2 でも、銀行はそうした兼業ができないようになっています。 なぜでしょうか? 銀行の通貨創造力のためです。 銀行は、時には生産が予定されている実物を担保に取って、自ら作った貨幣を供給します。 例えば、商品を販売してもらうお金、採掘する鉱物、そして建てられるマンションなどですね。 ところで、その実物の生産を貨幣創造主体がするとどうなりますか? はい、起こるべき問題は、あなたが十分予想できます。

¶3 もし、銀行が欲しい事業を直接したい場合はどんな方法があるでしょうか。 自分の分身を作って事業者で立たせ、その分身にお金を貸せばいいのです。 そして、分身から、事業の利益を返してもらえばいいのです。 そうです。利子も得て、事業利益も得ることになります。

¶4 この間信託について話しました。 人々はだいたい財物を誰かに任せればまだその財物が法的にも自分のものだと考えるでしょう。 しかし、米英法(普通法)の体系の下で生まれた信託はそうではありません。 法的に財物は受託人の所有になります。 自分が貸したお金で事業をしたのではなくなるから、概念的には利子も受け取り事業収益も得られるのです。

¶5 韓国で莫大な信用創出が可能ないわゆる商業銀行(日本では都市銀行と呼びます)の大半は、外国人の所有です。 そして、様々な国と複雑に結びついた自由貿易協定の網に嵌まって一度許した慣行は、他の国の私的集団にも許容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 何の話か、皆さん理解してくれたら嬉しいです。

¶1 은행은 이자를 수입으로 하지요. 사업자에게 돈을 빌려준 대가입니다. 여기서 생각해 봅시다. 이익이 많이 나는 사업이라면 은행이 직접 그 사업을 하고 싶겠지요?

¶2 하지만 은행은 그러한 겸업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은행의 통화창조력 때문입니다. 은행은 때론 생산이 예정된 실물을 담보로 잡고 스스로 만들어 낸 화폐를 공급하죠. 예컨데 상품을 판매해 받을 돈, 채굴할 광물, 그리고 지어질 아파트 등이지요. 그런데 그 실물의 생산을 화폐창조 주체가 하면 어떻게 될까요? 네, 일어날 문제는 당신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습니다.

¶3 만약, 은행이 탐나는 사업을 직접 하고 싶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자신의 분신을 만들어 사업자로 내세우고, 그 분신에 돈을 빌려주면 됩니다. 그리고 분신에게서 사업의 이익을 돌려 받으면 됩니다. 그렇습니다. 이자도 받고, 사업이익도 얻게 됩니다.

¶4 앞서 신탁을 얘기했죠. 사람들은 대게 재물을 누군가에게 맡기면 여전히 그 재물이 법적으로도 자신의 것이라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미영법(보통법) 체계 아래서 태어난 신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법적으로 재물은 수탁인의 소유가 됩니다. 내가 빌려준 돈으로 사업을 한 게 아닌게 되니까, 개념적으론 이자도 받고 사업수익도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5 우리나라에서 막대한 신용창출이 가능한 이른바 상업은행(일본에선 시중은행이라 칭합니다)의 대부분은 외국인의 소유입니다. 그리고 여러 국가들과 복잡하게 맺어놓은 자유무역협정의 그물망에 엮여 한 번 허용한 관행은 다른 국가의 사적집단에게도 허용해야 합니다. 무슨 얘기인지, 다들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法院

2021-09-24 16:08:21 | Unknown Knowns

¶1 一週間前に本質が「神託」にあるが、みんなが殻だけ話している話題についてポスティングしました。 連休が過ぎて、この核心を真剣に扱う人がいたら、彼(彼女)が真実の人だと思おうとしたがやっぱりつまらない期待でした。 その代わり、真相究明のために、警察捜査、検察捜査、国政調査、特別検事だけを言います。 なぜだか分かりますか。

¶2 信託事務は裁判所(韓国では法院と言います)が監督するからです(韓国の信託法第105条)。 検察と警察は行政部、国政調査は立法部による調査ですが、証拠確保のために捜索するには裁判所(司法府)の許可が必要です。 司法府が正義なら自ら監督し、そうでなければ行政と立法府のアクションだけが取られることを期待するでしょう。 捜索令状も彼らが許可して、最終判断も彼らがしますからです。

 

¶3 本日は43年前の旧暦8月22日です。 みんなが新暦の誕生日を書く時、私だけが毎年誕生日が変わる旧暦が住民登録番号に使われていたのは理由があるでしょう。 偶然にも、韓日併合文書に調印した日も8月22日でした。

¶4 体験プログラムで初めて作ってみた螺鈿工芸です。 私の気持ちです。

¶1 일주일 전에 본질이 '신탁'에 있지만, 모두가 껍데기만 얘기하고 있는 이슈에 대해 포스팅했죠. 연휴가 지나 이 핵심을 진지하게 다루는 이가 있다면 그(그녀)가 진실된이라 여기려 했는데 역시나 허튼 기대였습니다. 대신 진상 규명을 위해 경찰수사, 검찰수사, 국정조사, 특별검사만을 얘기합니다. 왜 그런 줄 아세요?

¶2 신탁사무는 '법원'이 감독하기 때문이죠(신탁법 제105조). 검찰과 경찰은 행정부, 국정조사는 입법부에 의한 조사인데, 증거확보를 위해 수색하려면 법원(사법부)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사법부가 정의롭다면 스스로 감독할테고, 그렇지 않다면 행정과 입법부의 액션만 취해지기를 기대할 겁니다. 수색영장도 그들이 허가하고, 최종판단도 그들이 하니까요.

¶3 오늘은 43년 전 음력 8월 22일이에요. 다들 모두 양력생일을 쓸 때 저만 해마다 생일이 바뀌는 음력이 주민등록번호에 쓰인 건 이유가 있겠지요. 공교롭게도 한일병합문서에 조인한 날도 8월 22일이더군요.

¶4 체험프로그램에서 처음 만들어 본 자개공예에요. 제 마음입니다~